내셔널지오그래픽 매거진

인스타그램 보기 내셔널지오그래픽 매거진 키즈

매거진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별의 아이

글 : 사라 A. 파하르도 사진 : 리베르 클라우레

한 사진작가가 고전 소설 <어린 왕자>를 안데스 문화의 관점에서 기발하고 진지하게 재해석한다.

기사 본문에서 발췌한 내용을 일부 공개합니다.

어느 날 사진작가 리베르 클라우레는 뜬금없이 ‘볼리비아’를 구글에 검색해봤다. 그러자 예상대로 라마, 산악 지대, 전통 의상을 입은 사람들 등 볼리비아를 연상시키는 사진들이 등장했다. 클라우레에 따르면 사진들은 종종 이방인의 시선을 담고 있다. 마치 안데스 문화는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다는 듯 말이다. 하지만 변화무쌍한 오늘날의 세계에서 안데스 문화는 진화를 거듭하며 번성하고 있다.

얼마 후 클라우레는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 영문판을 읽으며 그런 사진들이 자신과 조국을 바라보는 스스로의 관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더 곰곰이 생각해보게 됐다. 그러고는 이런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 가장 널리 읽힌 아동 서적에 속하는 이 소설이 사하라 사막 대신 안데스산맥에서 전개됐다면 어땠을까?
 
와라와르 와와는 모래가 아닌 소금이 펼쳐져 있는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 사막에서 비행을 한다.
<어린 왕자>에서 우리는 세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본다. 클라우레는 어린 시절과 놀이를 찬양하는 이 소설을 창의적으로 각색했다. 그는 사람들에게 ‘칙시’를 받아들여 혼합된 문화적 정체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것을 요청하는 볼리비아의 사회학자 실비아 리베라 쿠시칸키에게서 영감을 얻었다. 안데스 지방 전역에서 통용되는 언어인 아이마라어에서 나온 이 개념에 따라 직공들은 검고 흰 실 가닥들을 덧씌워 제3의 색인 회색처럼 보이게 한다. 클라우레는 세계화가 ‘정체성의 새로운 단계적 차이’를 만들어냈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의 프로젝트에서 안데스 문화의 상징들과 세계적 상징들을 나란히 배치해 관람자들에게 안데스 문화에 대한 진부한 민속적 묘사 그 너머의 것을 보라고 요청한다.
 

포토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