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지오그래픽 매거진

인스타그램 보기 내셔널지오그래픽 매거진 키즈

매거진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대담한 상어 방생 계획

글 : 크레이그 웰치 사진 : 데이비드 두벌레이, 제니퍼 헤이스

세계 곳곳의 수족관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상어를 사육해 바다에 방생하고 있다. 이는 전례 없는 조치지만 어쩌면 효과가 있을지도 모른다.

기사 본문에서 발췌한 내용을 일부 공개합니다.

인도네시아 라자암팟제도의 한 청록빛 석호에서 네샤 이치다가 무릎을 꿇은 채 아기 상어를 부드럽게 안았다. 그녀의 손가락 밑에서 버둥거리는 녀석은 마치 어린아이의 상상 속에서 등장할 법한 모습이었다. 가늘고 근육이 발달된 녀석의 몸통에는 검은 점이 있었고 옅은 줄무늬와 원이 꼬리까지 끝없이 이어져 있었다.

이 녀석은 태어난 지 15주 된 제브라상어였다. 여느 제브라상어와 마찬가지로 녀석 또한 알에서 부화했다. 하지만 그 알은 호주의 한 수족관에서 낳은 것으로 이후 항공편을 통해 인도네시아로 운송된 후 인도네시아에 있는 한 신설 상어 사육장의 수조에서 부화했다.
 
이치다가 와약군도에서 제브라상어를 방생하고 있다. 이 활동은 13개국에 있는 44곳의 수족관이 손잡고 결성한 단체 ‘리샤크’의 주도로 진행됐다. 이 단체의 목표는 포획해 사육한 상어를 바다에 다시 방생해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수많은 상어 개체군을 재건하는 것이다.
이 어린 새끼 상어의 부모는 몇 년 전 호주 퀸즐랜드주 북부 앞바다에서 포획됐다. 그곳에서는 제브라상어를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북서쪽으로 약 2400km 떨어진 이곳 라자암팟제도에서는 제브라상어가 거의 자취를 감췄다. 세계적으로 성행하는 상어 거래의 희생물이 됐기 때문이다. 2001년에서 2021년까지 연구원들은 무려 1만 5000여 시간에 걸친 수색 작업에도 불구하고 제브라상어를 고작 세 마리밖에 발견하지 못했다.

이 새끼 상어는 원대한 발상의 산물이었다.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수족관 수십 곳에서 근무하는 과학자들은 멸종위기에 처한 상어와 가오리 여러 종을 사육해 그 자손들을 전 세계 해역에 풀어주면 이 바다의 포식자는 물론 어쩌면 바다 자체를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물꼬를 튼 녀석은 제브라상어였다. 인도네시아 출신의 해양과학자 이치다는 첫 번째로 선별된 녀석을 방생하기 위해 이곳에 왔다.
 

포토갤러리

지도 및 그래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