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클턴의 난파선 인듀어런스호를 찾아서
글 : 조엘 K. 본 주니어 사진 : 에스더 호바스
결연한 의지로 무장한 탐사대가 탐험 역사상 가장 위대하다고 할 만한 수수께끼를 풀어냈다. 바로 남극의 빙하 아래로 침몰한 인듀어런스호를 찾아낸 것이다.
기사 본문에서 발췌한 내용을 일부 공개합니다.
웨들해는 그 비밀을 철저히 감추고 있다. 존 시어스와 멘선 바운드는 그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적어도 살아 있는 사람 중에서는 말이다. 두 사람은 웨들해에 숨겨진 가장 위대한 보물을 찾아 수년을 헤맸다. 그러나 지금 혹독한 남극해 해빙 위에 서 있는 그들은 마침내 패배를 인정하려던 참이었다.그들이 쫓고 있던 보물은 바로 그 유명한 인듀어런스호였다. 돛대가 세 개인 바컨틴형 범선 인듀어런스호는 1914년에 어니스트 섀클턴과 27명의 대원을 태우고 남극 대륙으로 향하던 도중 유빙에 끼어 좌초된 후 웨들해에 가라앉고 말았다. 섀클턴은 배에서 내려 대륙을 도보로 횡단하려 했다. 그러나 결국 그 계획은 실패했고 대신 생존을 향한 대서사시가 펼쳐졌다. 이는 위대한 극지 탐험의 시대를 가장 상세하게 기록한 이야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섀클턴은 난파선에 남겨진 대원들을 독려하며 눈보라와 동상, 보급품이 점점 줄어드는 역경을 함께 이겨냈다. 대원 전원이 살아남았으며 그들의 생존 이야기는 수많은 책과 영화의 소재가 됐다. 하지만 그들의 장대한 탐험을 상징하게 된 것은 다름 아닌 난파선 인듀어런스호였다.

JAMES BLAKE, FALKLANDS MARITIME HERITAGE TRUST, NATIONAL GEOGRAPHIC
인듀어런스호의 선장과는 달리 시어스와 바운드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해빙 예측기와 대형 헬기, 측면 주사 음향 측심기가 탑재된 최신형 수중 로봇 등의 첨단 장비를 활용할 수 있었다. 또한 134m 길이의 강철 쇄빙선 아굴라스 2호와 숙련된 선원들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두 사람은 시간이 촉박하다는 사실을 실감하고 있었다. 겨울이 다가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인듀어런스호를 가뒀던 유빙이 언제라도 아굴라스 2호를 둘러싸고 얼어붙을 가능성이 있었다. 앞으로 이틀 안에 떠나지 않으면 쇄빙선이 얼음에 갇힐 위험이 있다는 것을 두 사람 모두 잘 알고 있었다.

1915년 11월 21일 오후 5시, 부빙 위에서 공포에 질린 채 야영을 하던 대원들은 선미가 공중으로 치솟는 광경을 목격했다. 그 후 인듀어런스호는 차가운 바닷속으로 미끄러져 내려갔다.
웨들해의 해빙 아래에서 섀클턴의 바컨틴형 범선을 찾아내려는 시도는 막대한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 탓에 불가능해 보였다. 그러다 2018년,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해양 보호 단체 ‘플로틸라 재단’이 처음으로 인듀어런스호 탐사 사업에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2019년 초에 탐사에 나서는 것을 목표로 시어스가 탐사대장에, 바운드가 탐사 총괄직에 임명됐다.

수색 해역에 미처 도달하기 전부터 탐사대는 기계 고장 때문에 발이 묶였다. 카메라가 장착된 원격 무인 잠수정(ROV)이 난파선 탐색에 투입됐는데 이를 처음으로 시운전하는 과정에서 전자 장치가 들어 있는 캡슐이 파열된 것이다. 탐사대는 끝내 도착하지 않은 예비 부품을 기다리느라 활주로에서 거의 일주일을 허비했다. 부품을 포기한 채 수색 해역으로 향한 탐사대에게는 주력 무인 수중 잠수정(AUV)을 단 두 번 투입할 수 있는 시간만이 남아 있었다. 이 최첨단 AUV ‘후긴 6000’은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측면 주사 음향 측심기로 해빙 아래에서 해저를 탐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잠수정은 순조롭게 임무를 시작해 바운드가 인듀어런스호의 침몰 지점으로 추정한 수색 구역 내에서 사전 설정된 11개의 경로 중 일곱 개를 조사했다. 그러나 이 600만 달러짜리 잠수정이 돌연 자취를 감추면서 귀중한 자료와 탐사대의 성공 가능성도 함께 사라지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