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 세대의 마지막 증언
글 : 린 올슨
사진 : 로버트 클라크
균류의 세계
2025년 3월호
2025년 2월호
2025년 1월호
2024년 12월호
2024년 11월호
2024년 10월호
2024년 9월호
2024년 8월호
2024년 7월호
2024년 6월호
2024년 5월호
2024년 4월호
2024년 3월호
2024년 2월호
2024년 1월호
2023년 12월호
2023년 11월호
2023년 10월호
2023년 9월호
2023년 8월호
2023년 7월호
2023년 6월호
2023년 5월호
2023년 4월호
2023년 3월호
2023년 2월호
2023년 1월호
2022년 12월호
2022년 11월호
2022년 10월호
2022년 9월호
2022년 8월호
2022년 7월호
2022년 6월호
2022년 5월호
2022년 4월호
2022년 3월호
2022년 2월호
2022년 1월호
2021년 12월호
2021년 11월호
2021년 10월호
2021년 9월호
2021년 8월호
2021년 7월호
2021년 6월호
2021년 5월호
2021년 4월호
2021년 3월호
2021년 2월호
2021년 1월호
2020년 12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9월호
2020년 8월호
2020년 7월호
2020년 6월호
글 : 닉 마틴 외 4명 사진 : 아고라스토스 파파차니스 외 1명
균류는 인간의 몸속과 피부 그리고 우리 주변 어디에나 존재한다. 이 매혹적인 이웃을 연구하고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인간과 균류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속속들이 밝혀질지도 모른다. 산호침버섯 생김새에 걸맞은 별명이 붙은 산호침버섯이 그리스 할키디키반도의 한 나무에서 폭포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식물군. 동물군. 균군. 자연계에서 균류를 독립적인 계로 분류하게 된 학문적 근거는 명확했다. 균류가 없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생물의 상당수는 지구상에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균근균은 적어도 4억 년 전부터 지극히 기초적인
자세히 보기